COVID19 : 공동 진화의 가능성

1. INFO

– COVID19 : 공동진화의 가능성 (2021, generative algorithmic, 33ch audio, 염기서열, 가변크기)

– 202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Reboot 지원사업 선정 다원예술 (협업 아티스트 : 임수빈)

– 전시 / 아티스트 토크 기록 URL : https://www.youtube.com/watch?v=430gg9V34BY   (2021. 10. 21 ~ 11. 7,  갤러리 더 플럭스 더 플로우, 서울)

– 제작 과정 및 아카이브 채널 URL : https://www.youtube.com/channel/UCBWvuqMGfIzCt-GN9ziGMTQ 

– 평론 전문 (이승훈, 미술평론가) URL : https://jookwansong.org/covid19_coevol_critic_kr/

2. 작 업  설 명

 본 작업은 팬데믹으로 선언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생태를 통해 미시생태 환경의 흐름이 인류의 역사와 어떠한 진화 관계를 이루어 왔으며, 지금 인류는 어떠한 위치에 서있게 되었는지를 공동 진화의 관점에서 사운드/ 미디어 설치 전시와 리서치 북으로 공개한 프로젝트이다. 분자생물학과 질병 문화사에 관한 사전 리서치를 통해 얻어진 과학적 근거와 인문학적 사고의 단편을 사운드/ 키네틱 설치, 디지털 매체의 바운더리 속에서 융합 시키기 위한 다학제적 접근 방식을 취하였다. 연계 학문에 대한 리서치는 개별 연구와 전문가의 자문 위주로 진행되었는데,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이/ 진화적 측면에서 얻어진 ‘침투와 방어’라는 진화의 시작과 인류의 감염병 역사가 만들어 온 고리들을 ‘잉여 욕구’의 개념(본인이 착안하여 접목하였다)과 연계하고, 사운드 매체의 미학적 응용과 설계, 수축/ 팽창의 역학을 응용한 미디어 설치 전시를 진행하였다.

 바이러스 변이 표본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Markov 연쇄 확률 프로세스를 통한 결과물을 매체 파라미터와의 관계 속에서 명령어로 전환, 테이블링화 하여 사운드/ 키네틱 미디어 매체의 구동을 통제(generative 요소 구현/ 활용)하도록 하였다. 사운드는 수직적/ 수평적 진화 개체 사이의 상호영향을 이상적인 파형과 그렇지 않은 것과의 침투와 방어 양상을 통해 공동 진화의 시작점과 진행 과정에 초점을 두었고, 키네틱 미디어 매체는 펌프 모터를 활용한 수축/ 팽창의 부피 역학을 통해 탐욕에 대한 임계점을 공기의 절대적 용량으로 상정하고 인류의 현재 일상이 어떠한 호흡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상상의 지형을 묘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 ​ 

3. 전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