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le Faust

1. INFO

– Belle Faust (2023, generative algorithmic, 30ch audio/ projection, 염기 서열, 가변크기)

2023 서울문화재단 예술창작공모선정 다원예술 (사운드/ 미디어 설치, 무용 협업)

– 공연 / 전시/ 아티스트 토크 기록 URL : https://youtu.be/FBINYVCNjT8   (2023. 9. 14 – 24, 연희예술극장, 서울)

– 제작 기록 / 아카이브 채널 : https://bellefaust.tistory.com/ (블로그), https://url.kr/cxg5e4 (유튜브)

– 평론 전문 (홍경한, 미술 평론가) : https://jookwansong.org/belleFaust_critic_kr

2. 작 업  설 명

 본 작업은 인류의 이기와 무지에 의하여 이룩된 ‘시스템’, ‘구조’를 비판하고 있으며, 이를 ‘해체’의 구도 속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그 비판의 대상인 결집과 포화의 구조체를 Belle Faust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분자생명공학적 관점의 진화적 접근과 인류 사회의 역사적 접근 속에서 현 인류 사회의 결집 구도를 지적한다. 이와 같은 주제 의식을 가지고 다학제적 접근 속에서 사운드 전자 공학, 분자생명공학, 무용 이론, 포스트모더니즘 현대 철학 등의 접점을 융합하고자 하였다.

 데이터의 유연성(data-driven)으로 미디어 매체가 통제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생태학적 관점에서 SARS-CoV-2(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변이체들을 재료로 generative 알고리듬을 제작하였고, 아미노산이 강탈당하는 그 종류와 비율의 변화 추이는 미디어 매체 파라미터를 통제하도록 하였으며, 이에 따라 30ch의 사운드 매체와 영상 미디어 매체는 ‘해체’의 흐름 과정에 놓이게 된다. 본 프로젝트에서 ‘해체’의 흐름은 프랑스의 사상가 가타리(Pierre-Felix Guattari)가 제안하였던 분자 혁명을 기반으로 5가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 과정은 오미크론 변이 유전체에서 최초 발생된 유전체(중국 우한)까지 변화되는 5번의 변이 흐름과(총 6가지 유전체) 맞물리며, 인위적으로 COVID19 펜데믹의 시간을 거꾸로 돌리는 방식(초기 신종코로나 바이러스의 독성이 강했을 때, 인류는 활동을 멈추었고, 대지의 심장은 숨을 쉬었다)으로 생태학적 관점의 철학과 비판의 메세지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5 단계로 이루어진 변화 과정 속에서, 사운드는 Band pass filter 프로세싱을 기반으로 러시아와 미국의 애국가에서 시작되는 화성적 질서를 분해하여 질감적 흐름으로 만들게 되고, 영상은 무용의 언어인 라바노테이션 기호를 꿀벌(생태지표종)의 춤 언어(폰 프리슈)에 대입시키게 되는데, 이는 두 거대 군사 결집체 Belle Faust(미국/ 러시아)를 대표하는 인류의 패권 경쟁 속에서 소외되어 온 대지와 자연의 생태 움직임(꿀벌의 춤 언어는 이를 대표한다)을 조명하는 사운드/미디어 매체의 설정이 된다 .

3. 전시, 공연 기록